STUDY82 성취평가제 1.문제제기 2012학년도 1학년부터 중학교에 성취평가제가 적용되었지만 여전히 상대평가 또한 실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접하게 되었다. 이에 우리의 본 발표목적은 성취평가제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높이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성취평가제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취평가제의 시행 수준을 확인해본 뒤 성취평가제의 한계점 및 먼저 시행되고 있는 다른 나라와 우리나라의 상황을 비교해보며 현실적인 시행 가능성을 분석해본다. 본 발표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성취평가제란 무엇인가? 둘째, 성취평가제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 2. 성취평가제의 이해 1) 성취평가제 정의 성취평가제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목별 성취기준ㆍ성취수준을 토대로 학생의 학업 성취 정도.. 2015. 3. 6. 모든 신앙인은 유통하는 자이다. 장경철 교수님의 『축복을 유통하는 삶』을 읽고 ‘모든 신앙인은 유통하는 자이다.’ 신앙인에 대한 정의와 수식은 수없이 많다. 특별히 이 책에서는 그 신앙인의 정체성에 대해서 ‘유통업자’라고 표현하고 있다. 지금껏 머릿속에만 두루뭉술하게 잡혀있던 ‘신앙인’을 ‘유통업자’라는 언어로 구체화하게 된 것은 신앙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모든 신앙인은 유통하는 자이다.’ 이 명제를 살펴보면 신앙인은 곧 유통업자이다. 즉, 신앙인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지를 보려면 유통업자의 특징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가장 크게 얻은 것이 있다면 이것이다. 유통업자는 스스로 공급하는 것이 아닌 공급처로부터 공급을 받고 그것을 옮겨내는 자라는 것. 이것은 신앙인으로서 가장 큰 감사거리이다. 내가.. 2015. 3. 6. 『죽음의 수용소에서』 를 읽고 『죽음의 수용소』는 정신과 의사 Vitor E. Frankl이 아우슈비츠 등의 강제수용소에서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적은 저서이다. 책의 내용은 제1부에서 ‘강제수용소에서의 체험’을, 제2부에서 ‘간략하게 본 로고테라피’, 제 3부에서 ‘1984판에 부친 후기 비극적 낙관론의 사례’로 이루어져있다. 다시 말해, 1부에서는 모진 운명을 견뎌낸 저자의 체험담과 그 곳에서 찾아낸 의미, 2·3부에서는 로고테라피의 기본개념과 치료 사례들을 간단히 설명하고 있다. 먼저 1부 ‘강제 수용소에서의 체험’에서 그는 강제 수용소에서의 체험을 다룬다. 하지만 단순한 사실이나 사건들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 여러 끔찍한 일들을 생생하게 전달하려는 것이 아닌, 강제 수용소에서 겪은 생활이 평범한 죄수의 마음속에 어떻게 반영.. 2015. 3. 6. [교직실무] 은사님을 통해 돌아본 교직 나에게 선생님이란 무엇인지 보여주신 분이 계시다. 바로 초등학교 5학년 때의 담임선생님이다. 수많은 선생님들을 거치며 학창시절을 보내왔지만 나에게는 전무후무한 선생님으로 기억된다. 이 전에도 많은 좋은 분들을 뵈었겠지만 시간이 흘렀을 때 크게 기억되는 선생님은 많지 않은 것 같다. 기억이 된다 하더라도 좋은 부분이라기보다는 체벌을 한 선생님, 무관심했던 선생님, 아이들이 눈치를 보게 되는 선생님 등이 기억에 남는다. 그렇다면 왜 초등학교 5학년 때의 선생님은 지금 22살이 되어서도 잊혀 지지 않고 기억에 남는 걸까. 5학년 때를 돌아보면 이렇다. 선생님께서는 항상 밝은 모습으로 우리를 맞이해 주셨고, 작은 것에도 칭찬해주시며 각자의 장점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고 계셨다. 못하는 것에 대해 지적하기 보다는 .. 2015. 3. 6. 이전 1 ···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