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교양10 우리는 모두 사랑하고, 우리는 모두 죽는다. 사랑과 죽음의 멜랑콜리 예술과 철학-2012.12.12 우리는 모두 사랑하고 우리는 모두 죽는다. 그렇지만 이것에 대해 사유하고 우리의 삶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이들은 얼마나 될까. 사랑과 죽음, 이것은 우리가 피해갈 수 없는 숙명이다. 이것을 외면하기 보다는 우리 삶 깊숙한 곳 하나하나 그 의미를 들춰내며 음미하며 살아가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우리 인생 주변엔 모든 것이 사랑이야기로 이루어져있다. 노래, 드라마, 영화뿐만 아니라 모든 것에 사랑이 빠지는 일이 없다. 우리는 왜 항상 이렇게 사랑을 갈구하고 항상 사랑에 빠져 살아가게 되는 것일까. 그건 바로 우리가 무언가 결핍된 존재이기 때문일 것이다. 결핍된 자기 존재를 인식하고 그것을 사랑을 통해 채우려는 욕망이 우리 안에 잠재되.. 2015. 4. 10. 남명조식 - 경의를 바탕으로 실천하는 교육자 남명조식 경의를 바탕으로 실천하는 교육자 남명조식 (南冥曺植) 출생-사망 : 1501 ~ 1572 본관 : 창녕(昌寧) 자 : 건중(楗仲,健中) 호 : 남명(南冥) 시호 : 문정(文貞) 활동분야 : 문학 주요저서 :『남명집』 남명 조식(南冥曺植) 1501년(연산군7)~1572년(선조5) 속세의 명리와 권력의 욕망을 초탈했던 조선조의 도학자이자 사림의 영수이다. 경남 합천 출생으로, 1520년 생원 진사과에 합격했으나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몰두했다. 1530년 김해와 고향에 각각 산해정, 산천재를 짓고 학문에 매진하면서 후학을 양성. 사림의 영수로 떠올랐다. 은거생활을 하면서도 부패한 정치를 통렬히 비판하는 등 선비로서의 책무에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저서로는 『남명집』,『남명학기』, 『파한잡기』.. 2015. 4. 10. 드라마 ‘빅’을 통해 보는 대중예술의 표준화와 사이비 개성화 드라마 ‘빅’을 통해 보는 대중예술의 표준화와 사이비 개성화 2012 최근 KBS 월화 드라마 ‘빅’이 관심을 받고 있다. 드라마 ‘빅’은 아직 시청률은 저조 하지만, 홍자매의 작품으로써 특별히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런데, 드라마 ‘빅’을 보다보면 생각나는 드라마가 있다. 바로, 작년 초에 종영한 ‘시크릿 가든’ 이다. 드라마 ‘빅’에서 ‘시크릿 가든’ 의 요소가 가장 강하게 느껴지는 부분은 물론 ‘영혼이 바뀌었다.’ ‘영혼 체인지’ 라는 설정이다. 우연한 사고에 의해서 둘의 영혼이 바뀌는 것, 그리고 그것으로 겪는 좌충우돌 스토리. 전체적인 구조에서 두 드라마는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기본적인 설정뿐만이 아니다. 스쳐가는 세부적인 장면 하나.. 2015. 4. 10. 우리의 미래 다문화에 달려있다 우리의 미래 다문화에 달려있다 다문화 사회는 이 시대에 불가피한 사회 현상이다. 이러한 현실을 부정하고 단일 민족국가임을 운운하며 안주하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인 것이다. 우리는 다문화를 바로 알고 여러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이미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를 바라만 보고 있거나 그 현실을 부정하고 변화와 융합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더 큰 사회적 재앙을 맞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지금 한국의 그러한 다문화 현실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다문화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태도, 여러 사회적 제도와 다양한 방면에서의 문제들 개선해야 할 부분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먼저 한국의 다문화 현실은 어떨까. 통계적으로 외국태생 인구의 비율이 전 국민의 5% 이상이 되어야 다문화 국가라고.. 2015. 3. 10. 한국의 서열문화, 한국어의 경어법 한국의 서열문화 ○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서 어휘나 표현, 문장 종결어미의 선택이 달라짐. ○ 서열 – 나이 많은 순으로 정해짐 * 일반적으로 나이순이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학교 : 선·후배 직장: 직급/ 입사날짜 가족: 항렬 ○ 수직적 의식구조 한국어의 경어법 ○ 아주 높임: -(으)ㅂ니다, 습니다 ○ 예사 높임: -(으)오, 소 ○ 예사 낮춤: -네, (으)ㄹ세 ○ 아주 낮춤: -ㄴ/는다, 구나, 더라 ○ 두루 높임: -어요/지요, (는)군요, (으)ㄹ걸요 ○ 두루 낮춤: -어, 이야, 지, 군 드라마를 통해 본 경어법 사용실태 분석 ○ 드라마 -등장인물 관계도 ○ 등장인물 경어법 분석 1. 진용석 EP1. 진용석, 김마리와 오자룡의 만남 - 오자룡은 이 둘이 연인 사이임을 알지 못하.. 2015. 3. 10. 인류학은 인류학이란 학문으로 끝나는가 인류학은 인류학이란 학문으로 끝나는가 문화인류학을 생각할 때, 흔히 원주민, 미개인들이 사는 곳을 찾아가 그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 문화를 이해하는 모습을 떠올린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것은 흥미로워 보이지만, 현실과는 동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우리의 현실에서도 인류학의 원리가 적용된다. 인류학은 인간을 연구하는 학문이고, 우리가 속한 사회 또한 인간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제는 인류학이 좁은 범위에서 넓은 범위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내 앞에 있는 현실에서 인류학이 사용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류학은 어떻게 우리의 삶의 적용될 수 있는 것일까? 우리는 인류학의 특성과 원리들을 우리 삶에 적용함으로 우리가 속한 사회와 문제들을 해결하고 개선해나갈 수 있다. 먼저 첫 번째로.. 2015. 3.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