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자격증

청소년상담사 3급 필기 합격후기

by theone 디원쌤 2017. 9. 16.

청소년상담사 3급  



몇 안 되는 상담분야 국가자격시험인 청소년 상담사! 

어떤 시험인지, 어떻게 준비했는지에 대한 필기 합격 후기:) 




 주최·주관기관

○ 주최 : 여성가족부

○ 주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청소년 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사는 위와 같은 기관에서 주최, 주관하는 국가자격시험 !



 원서접수


어디서 접수해야할 지 몰라 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와 여러 곳을 헤맸었는데
큐넷 홈페이지에 들어가 아래 링크에서 접수하면 된다. 

* 청소년상담사 홈페이지
http://www.q-net.or.kr/site/sangdamsa

응시자격이 까다롭기 때문에 꼭 자신이 응시자격조건에 부합하는지 살펴보고 접수해야 한다.

서류심사는 필기, 면접이 모두 끝난 후 합격예정자들만 대상으로 진행되는데 
합격 점수를 받고도 서류심사에서 떨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합격기준

필기시험 합격기준은,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이다. 

* 커트라인이 비교적 낮은 편이라 큰 부담을 내려놓고 준비할 수 있지만 
  큰 부담을 내려놓기에는 공부해야할 양이 어마무시하게 많다는 점이 함정이다..!

* 참고로 필기시험 합격률은 
   2012년 60.20%, 2013년 7.14%, 2014년 38.41%, 2015년 31.38%, 2016년 51.50% 이다.






준비과정


외국에서 돌아온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 돌아와보니 친구들이 모두 청소년 상담사 3급을 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미 8월 초에 접수는 끝이 났고, 나는 내년을 기약하고 있었는데
인터넷을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이 9월 7일-8일 특별추가접수기간이 떠서 준비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래서 책을 구입한 날짜는 8월 28일! 


9월 16일 시험까지는 약 3주간의 시간 밖에 없었는데, 그 중 1주일은 다른 시험을 준비하느라 총 2주동안 준비하게 되었다.

 




이 두꺼운 책을 보며 가능할까..? 싶었지만 그래도 일단 시작!!


공부해야하는 범위는 거의 대학 4년동안 배운 것을 총복습하는 느낌이었는데 과목은 다음과 같다. 




필수 1과목: 발달심리

필수 2과목: 집단상담의 기초

필수 3과목: 심리측정 및 평가

필수 4과목: 상담이론

필수 5과목: 학습이론


선택 1과목: 청소년이해론

선택 2과목: 청소년 수련활동론




필수과목은 말 그대로 필수로 보는 과목들이고, 

선택과목은 인터넷접수를 할 때 청소년 이해론, 청소년 수련활동론 둘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나는 그래도 심리학과 관련된 내용이 조금 더 있는 청소년 이해론을 선택했다. 

교재를 구입한 후에 자신에게 조금 더 익숙하거나 유리해보이는 과목을 선택하면 된다 :) 






공부 스케줄



책의 두께에서 볼 수 있듯 공부할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보통은 적어도 한달에서 몇 개월까지는 시간을 잡고 준비하게 된다. 특별히 학업 혹은 직장과 병행하여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더더욱 그렇게 해야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 막 돌아와 2주 동안 심장 쫄리게 준비해야 하는 나로서는 타이트하게 벼락치기 하듯 공부해야 했다.



 

서점에 가면 청소년 상담사 자격증을 준비할 수 있는 몇 권의 책들이 있다.

한 권 안에 다 들어있는 책도 있고, 이론서, 기출서 등이 나눠져있는 경우도 있고 다양할 것이다.

개인의 학습 스타일, 시간 등을 고려 하여 구입하면 된다. 


그 중 시대고시기획의 「청소년상담사 3급 한권으로 끝내기」를 구입하여 준비를 시작했다. 


책의 구성은 크게 각 과목의 이론 정리 + 문제 풀이 로 되어있고 

16년도 기출문제시험 전 볼 수 있는 키워드 자료들이 있다. 


이 구성을 토대로 2주의 준비과정을 다음과 같이 계획했다. 


 1주차

 각 과목 ( 총 6과목 ) 이론 읽기

 2주차 

 실전문제풀이 + 풀이해석 참고 + 16년도 기출문제 풀기



 이론

한 과목의 이론을 읽는데만 거의 하루를 쓴다. ( 적게는 2-3시간에서 많게는 4-5시간까지)

일이 있거나 약속이 있는 날은 하루 한 과목 읽기도 버거울 정도로 양이 많다.

그래서 2주차 초까지도 이론을 읽었고 이론을 읽으면서 문제풀이를 병행해갔다. 


 문제풀이/ 해설 

이 책은 문제 밑에 바로 답과 해설이 있어 처음에는 가려서 푸는 게 불편했는데 

해답지를 들여다 볼 필요 없이 문제를 푸는 즉시 바로 바로 정리할 수 있어 시간 단축에 큰 도움이 되었다. 


* 외워야 할 이론들과 내용들이 워낙 많다 보니 이론서에만 시간을 많이 쏟게 되기 마련인데, 

이론서는 최대한 집중해서 단기간에 보고 문제를 풀면서 하나 하나 정리해가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것 같다.


  이론을 읽으면서는 이런 내용이 있구나, 이런 틀이 있구나 정도로 보고

  문제를 풀 때 다 맞히겠다는 생각보다는 문제를 풀면서 내용을 정리하고 암기하겠다는 생각으로 보는 것이 좋다. 


  내용이 방대하기 때문에 암기만 하려고 하다보면 지치기 쉽고 흘려보내기 마련이지만

  문제를 풀면서는 다시 되새기게 되고 생각하게 되고 기억에 더 남게된다. 



 기출문제 

 준비를 하면서 아쉬웠던 점은 결국 시간이 없어 기출문제를 풀어보지 못한 것.

 풀다보면 문제집의 문제와 기출문제의 차이를 조금 느끼게 된다. 

 국가자격시험의 문제이니 확실히 문제의 질과 수준이 다르다.  


시험 전 기출문제를 풀어보며 실전 감각을 익히고 문제의 패턴과 자주 나오는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좋을 것이다. 



  총정리

 또 하나 아쉬운 점은 바로 이 총정리.

 아무리 문제를 풀면서 어느 정도 감을 익혔다 해도 시험 전 마무리는 이론서로 돌아와야 하지 않나 싶다. 

 다시 잘 정리된 이론들과 내용들을 보며 마지막 점검을 하고 들어간다면 퍼펙트할텐데

 시간상 부랴부랴 문제풀이까지만 겨우 마치고 시험장에 들어가 뭔가 찝찝하기도 하고 불안하기도 했었다. 



사람마다 스타일이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청소년 상담사 3급을 준비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이 준비하면 어떨까 싶다. 

 

 이론서 훑어보기 -> 문제풀이/ 해설 참조하여 개념, 이론 정리하고 암기 -> 기출문제 -> 이론서 보며 총정리, 최종 암기


( 이론서/ 문제풀이는 병행해서 진행해도 무방할듯 하다. )


 




 시험 당일



시험 당일에 챙겨가야 할 것 



 - 수험표 (출력해갈 것)

 - 신분증 

 - 컴퓨터용 싸인펜 


 - 수정테이프

 - 손목시계

 - 연필/지우개

 - 당을 충전해 줄 초콜릿 :) 



꼭 챙겨야 하지만 꼭꼭 들고가야 하지만 신분증을 들고 오지 못한 경우!

정해진 기간 안에 가장 가까운 한국산업인력공단 지사에 들러 확인받으면 된다고 하네요


하지만 꼭 꼭 꼭 다시 한 번 꼭 체크하고 가져가기~! 



시험 스케줄 


9:00 - 9:30

입실 및 개인 공부


9시 10분 정도부터는 시험 안내 등을 시작하여

공부하던 것을 가방에 넣게 된다. 

 

 

9:30-11:10 1교시 

 발달심리

집단상담의 기초

심리측정 및 평가

상담이론 

  (100분) 

11:10- 11:40

 

쉬는시간


보통 11:30에 착석 

35분쯤 시험지를 나눠주고 파본검사를 한다.


 

11:40-12:30 2교시

 학습이론 (필수)

청소년 이해론 · 청소년수련활동론 중 1과목 (선택)

  (50분) 



시간 분배


문제 수는 과목 당 25문제이다.

+ 계산해보면 한 과목당 주어지는 시간이 25분이므로 이를 잘 고려해서 시간분배를 해야 한다. 

(문제당 1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재검토와 마킹시간을 잊어서는 안된다)


기출문제를 풀고 가지 않아서 시간에 쫓길까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적으로는 큰 부담이 없었다. 

우선 한 과목당 20-25분을 예상하고 빠르게 문제를 풀었는데 1교시의 4과목을 처음 다 풀고 2-30분이 남았다.

그리고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하나 하나 체크하며 마킹을 시작했다.


청소년 상담사 시험은 속도보다는 '정확성'에서 갈리게 되는 것 같다. 


그렇다고 방심해서 여유있게 풀다보면 시간이 부족할 수 있으니, 최대한 빨리 풀고 처음부터 돌아와 다시 재검토 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






  합격 후기 



 

2017년 10월 18일 드디어 합격 발표가 났다 !

대학원 준비로 피폐해져있을 때쯤 들려온 기쁜 소식

 

모든 게 산넘어 산이지만 다시 감사하며 살아가야지 :)

 

 

행복해지는 좋은 방법은 시선 그대로 사는 것이다.

가질 수 없는 것을 보느라 고개를 너무 들지 않고

지나간 것을 놓지 못해 고개를 너무 내리지도 않고

시선 그대로 사는 것.

내 시선에 머무는 것을 더욱 자세히 사랑하는 것. 

- 비밀편지 박근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