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교육대학원(상담심리)

서강대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기출정리- 긍정심리학

by theone 디원쌤 2018. 5. 3.

긍정심리학

* Martin Seligman(1998)이 제시한 긍정심리학의 특징을 설명하고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한국 입시교육체계의 제한점을 논하시오.

긍정심리학(Positive Psychology)은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인간의 행복과 성장을 지원하는 학문이다. 긍정심리학은 부정적 측면의 제거보다는 긍정적 측면의 향상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심리치료에 있어 손상되고 약화된 부분을 고치거나 나아지게 하는 것만이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역량을 발견하고 이를 최선으로 이끌어내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둔다.

긍정심리의 핵심원리인 행복한 삶의 개념은 세 가지의 요소, 긍정 정서(positiveemotion),몰입(engagement),의미(meaning)로 정의한다. 긍정정서는 즐거운 삶(pleasantlife)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데, 과거,현재,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며 살아가는 삶을 말한다. 몰입은 몰입하는 삶(engaged life)으로 자신이 추구하는 활동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함으로써 성격 강점과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자기실현을 이루어나가는 삶이다. 사람은 각각 나름대로의 다양한 강점과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며, 이러한 강점들 중에서 개인의 독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들을 대표 강점이라 하고, 진정한 행복은 이러한 대표 강점을 찾아내고 계발하여 일상생활에서 잘 활용하는 가운데 발견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 개념은 의미로 이는 의미 있는 삶(meaninglife)을 뜻한다. 의미 있는 삶은 자신이 더 중요하다고 여기는 신념을 추구하거나 그 신념을 위해 자신의 강점이나 재능들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Seligman et al., 2006). 이상을 종합해보면, 긍정심리의 핵심원리는 행복한 삶을 위해서 긍정적인 정서, 활동에 몰입하기, 삶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과거, 현재, 미래 모두에서 수용하고 경험할 수 있는 긍정정서가 존재하고, 이를 최대한 지속시켜 다양하고 의미 있는 정서적 경험을 하도록 한다. 또한 현재 자신의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하여 개인의 강점을 계발하고 활용함으로써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돕는다. 이런 경험들을 발판으로 자신만의 가치나 신념 등 소중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서강대 교육대학원 기출 문제를 받고 이에 대한 답을 찾는데 많은 애를 썼다. 마지막 일주일은 외출 한 번 못한채 집에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열심히 찾은 내용을 공유하고 싶지 않은 것이 솔직한 마음이다. 하지만 시험 당일, 기출에서 흔히 봐왔던 영역 외에 생각지 못한 문제를 맞닥뜨렸다. 기출은 기본이요, 변두리 내용까지 숙지하고 가려면 기출 분석에 들이는 시간을 줄여야할 것이다. 여러 사이트에서 혹은 유료로 구입하여 컨텐츠를 보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렇게 하기 쉽지 않은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하여 올려본다. 백퍼센트 맞는 답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여러 논문과 책,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오랜시간 들여 답을 찾아나갔다. 참고하게 된다면 그만큼의 노력이 들어간 글이라는 것을 조금이라도 알아주시길. 또 부족해 보이는 부분은 직접 검색하고 찾아보면서 더블체크 하시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