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82

학교폭력/관점의 변화/종합적이해 지식채널e, ‘이 글을 읽는 모든 분께’라는 영상 시청으로 시작한 수업. 처음에는 피해자 부모님의 입장을 말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했는데, 사실 가해자 부모님의 당부였다는 것이 나름 반전처럼 느껴졌다. 이후에 교수님께서 부연 설명을 하시며 ‘피해자가 되거나 가해자가 되는 건 복불복’이라고 말씀하신 것이 기억에 남는다. 나의 아이가, 그리고 한 학생이 피해자가 될 수도 있고, 가해자가 될 수도 있는 어느 경계 지점에 서있는 것이다. 부모와 교사는 이 두 가지 가능성을 모두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적절한 예방과 개입에 관해 고민해 보아야 한다. 또 한 가지 실제적으로 생각해보게 된 지점은 학부모의 입장이었다. 교수님께서 자녀 이야기를 하시며 부모의 입장에서 느끼는 감정들을 세세하게 설명해주실 때, ‘아 학부모.. 2020. 9. 5.
학교폭력의 이해/지식채널e 별 일 없냐구요 지식채널e, ‘별 일 없냐구요’ 는 학생들이 직접 만든 UCC다. 학교 폭력을 당하고 있지만 ‘별 일 없냐’는 말에 그저 ‘네’라고 답할 수밖에 없는 학생의 모습이 마음 아팠다. 영상 속 학생이 말하듯, 아이들은 별 일 없어도 나의 하루를 궁금해 하는 사람이 옆에 있기를 바라고 있을 것이다. 별 일이 없다고 하면 ‘그렇구나’하고 그냥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요즘 하루가 어떤지, 어떤 생각을 하며 주로 보내는지 더 궁금해 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란 생각이 든다. 영상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할만한 점은 자기보고식 학교폭력 실태조사였다. 이 설문조사가 정말 자신의 상황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 회의를 느끼는 학생의 입장이 이해가 간다. 초창기에는 학교폭력 설문조사를 학급에서 실시하고, 이후에는 컴퓨터실, 그 다음으.. 2020. 9. 5.
학교폭력/SBS스페셜 학교의눈물 오늘은 ‘학교의 눈물’이라는 영상을 시청했다. 중간에 언제 한 번 보았던 익숙한 영상이 나와서 이걸 언제 봤나 생각해봤더니, 작년 학회 심포지엄 때 천종호 판사님 강의에서 일부 편집된 영상을 봤다는 것이 기억났다. 당시 영상의 일부만 시청했기 때문에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 부분도 있었는데, 오늘 전체 영상을 보고 나서 그 에피소드가 어떤 배경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학교폭력은 가해자, 피해자, 그들의 가족, 학교, 학급 친구들 등 참 다양한 사람과 상황이 얽혀있다. 학교폭력을 단편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을 다시 생각해보게 된다. 영상은 대구자살사건 피해자인 故 권승민군의 어머니 인터뷰로 시작했다. 가슴이 참 먹먹했다. 영상을 보니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지나오며 알게 모르게 학교폭력을 .. 2020. 9. 5.
학교폭력/ 응보주의의 한계와 회복적 정의 지금까지의 학교폭력을 위한 법은 가해학생에게 가해지는 처벌의 수준을 높이고 법이 적용되는 연령을 낮추어 많은 학생들이 나쁜 행동에 상응하는 벌을 받도록 노력해왔다. 대구자살사건 이후에 정부에서 ‘사소한 괴롭힘도 범죄라고 보고 강력히 처벌하겠다’고 발표한 것은 아이들의 잘못된 행동은 처벌이 부족해서라고 보는 입장을 반영하며, 벌을 강력히 준다면 폭력 행동이 줄어들 것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하지만 학폭법을 시행하면서 여러 문제와 한계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이전에 사소한 다툼은 교육적 해결로 가능했지만, 이제는 사소한 문제 행동까지 범죄가 되어 모든 것을법적으로 처리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이에 교수님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을 던지셨다. ① 벌이 약한가? ②벌만 주면 해결된다는 생각이 어디서 났.. 2020. 9. 5.
학교 공동체를 살리는 회복적 생활교육 임용 합격 전, 「학교현장을 위한 회복적 학생생활교육」을 읽고 썼던 글.‘왜 회복적 생활교육인가?’라는 질문, 그리고 그 답변은 회복적 생활교육을 배우기에 앞서 내가 마주했던 꽤나 충격적인 내용이었다. 기존의 나의 도식으로 이해되지 않는, 아니 생각해보지 못한 접근이었기 때문이다. 잘못된 행동을 처리할 때 나는 참 자연스럽게도 다음의 세 가지 질문을 떠올렸다. ‘어떤 법이 위반되었는가?’, ‘누가 위반하였는가?’, ‘어떤 형벌이 마땅한가?’ 사실 너무 자연스러워서 이러한 과정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본 적이 없다. 또한 이러한 처리방식이 어떤 효과를 불러일으키는지 돌아보지 못했다. 여론의 흐름에 따라 가해학생에 대한 더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만 생각했을 뿐, 가해자가 진심으로 뉘우치고 반성하며 자신의 행동.. 2020. 9. 5.
임용고시 2차 시험 준비(비교과/전문상담/심층면접) ■ 2차 시험 학습방법 1차 시험 후에 긴장이 너무너무 풀리지만 스터디를 꼭 바로 구하세요! 이미 긴장이 풀린 상태에서 혼자서 2차 준비를 하기는 정말 어렵고, 스터디 안에 있어야 뭐라도 하기 때문이에요ㅠㅠ! 한마음에 들어가셔서 다양한 스터디 모집을 활용하세요! 1. 시책스터디(밴드) 저는 먼저 밴드로 하는 시책 스터디에 들어갔습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매일 한 사람씩 돌아가며 시책 문제를 내는 것입니다. 그리고 녹음을 해서 댓글로 다는 것이죠. 간단하지만 매일 매일 시책을 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일찍부터 시책을 익혀둘 수 있다는 점에서 좋았습니다. 2. 행복한 교육 요약 스터디 한마음에 행복한 교육을 월별로 요약하는 스터디 모집이 올라와서 신청했어요. 11명이 모여 1월-11월 행복한 교.. 2020.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