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상담교사

[우울한 청소년을 위한 대인관계 치료] 3. 우울증을 위한 대인관계치료의 시작과 발달

by theone 디원쌤 2024. 5. 1.
대인관계치료(IPT)
  • 특징: 단기적 및 시간 제한적 심리치료 (일주일에 한 번, 12주 치료로 설계됨)
  • 목표: 1. 우울 증상 감소시키기 2. 중요한 대인관계에서 의사소통 기술을 증진하여 대인관계 기능 향상시키기

            특정 의사소통의 변화가 환자의 대인관계에서 나온 반응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이해하도록 도와 -> 대인관계의 감정치를 바꾸고 -> 결국 우울한 기분을 줄임

  • 가정: 임상적 우울증이 사회적 및 대인관계적 맥락 내에서 발달하고, 발병시기, 치료 반응과 치료 결과는 우울한 환자와 중요한 타인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받는다
  • 접근 방식 1. 치료 초점이 되는 한두 가지 문제 영역을 파악 2. 현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대인관계의 성격 강조
  • 초기- 중기- 종결 단계

우울증의 사회적 맥락

  • 우울한 사람이 중요한 타자의 지지를 잃어가는 방식으로 환경에 참여하고-> 실제로 우울증을 지지하는 피드백을 이끌어 내어 -> 우울증에 취약한 사람이 된다.
  • 우울증을 이기도록 보호하는 적응적인 대인관계 기능 역할

[회피하기보다 접근하기, 직접적으로 문제 해결하기, 가설 세우기보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정보 구하기의 대처전략]이 부정적인 생활 사건에서 우울증을 유발하는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음

IPT에서 개념화한 임상 우울증


1. 증상형성: 우울한 정서, 징후 및 증상의 발달과 관련된 것/ 정신생물학적 기제나 정신역동적 기제 혹은 이 두가지에 기인함
2. 사회적 기능: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된 것/ 아동기 경험을 토대로 한 학습, 사회보상, 우울증의 결과로서 숙달감과 자신감에 대한 개인의 노력에 기인함
3. 성격: 보다 오래 지속되는 특질과 행동과 관련된 것/ 개인의 고유한 반응과 기능 양상으로 구성되고 증상 발달의 경향성에 기여할 수 있는 분노, 죄책감과 전반적인 자존감 다루기가 포함됨

  • IPT는 치료의 간결성, 낮은 강도 수준의 심리치료, 현재 우울 삽화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격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는 치료 초점을 두지 않는다.
  • 청소년 대상 치료 작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성격적 특질에 초점을 두지 않는 것이다.
  • 지속되는 성격적 병리라기보다 우울증상으로 인한 부수적인 증상으로 봄

  • IPT의 세 가지 단계


1. 특정 과제에 접근하기 위한 전략 (1. 교육 2. 감정과 기대에 대한 명료화 3. 가족, 또래 집단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한 명료화, 4. 대인관계 문제 해결, 모델링과 역할놀이)
2. 특정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 (다른 치료와 유사)
3. 치료적 분위기 (다른 치료와 유사)

댓글